본문으로 바로가기

2014년 예산안 357조 7000억

category 대한민국 2013. 10. 5. 18:14
반응형

2014년 예산안 357조 7000억

2014년도 나라살림 규모가 357조7000억원으로 편성됐다. 

1-2014년 예산 보도자료.hwp

2-2014년 예산안.hwp

3-국민생활 밀집 60선.hwp

4-이책사업 45선.hwp

5-국가재정 운용계획.hwp 

6-국세 세입 예산안.hwp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 총지출은 올해 본예산 대비 4.6% 증가한 357조7000억원으로 짜여졌다. 총수입은 국세수입 증가율 둔화와 세외수입 감소 등으로 올해보다 -0.5% 감소한 370조7000억원으로 전망됐다.

분야별로는 '보건ㆍ복지ㆍ고용'이 8.7%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증가액이 가장 많은 분야도 '보건ㆍ복지ㆍ고용'으로 105조9000억원이 편성돼 처음으로 복지예산 100조원 시대에 진입했다.

정부는 당초 공약가계부 이행을 위해 경제분야 예산을 대폭 줄이려 했으나, 경제활성화를 위해 오히려 '농업'을 2000억원 늘리고 'SOC'와 '산업'은 각각 1조원과 2000억원을 축소하는데 그쳤다.

(조원, %)

 

’13예산

’14안

증가율

본예산

증가율

추경

증가율

본예산

추경

ㅇ 총 수 입

372.6

8.5

360.8

5.0

370.7

△0.5

2.8

ㅇ 총 지 출

342.0

5.1

349.0

7.2

357.7

4.6

2.5

ㅇ 관리재정수지

   (GDP대비)

△4.7

(△0.3)

 

△23.4

(△1.8)

 

△25.9

(△1.8)

 

 

ㅇ 국가채무

   (GDP대비)

464.6

(34.3)

 

480.3

(36.2)

 

515.2

(36.5)

 

 


 

 

 


 

  2014년 예산안 발표... 국민생활 이렇게 바뀐다.

 

구분 

2013년 기존

2014년 예산안

노인 임플란트

없음

75세 이상 대상으로 비용 절반 지원(7월부터)

어린이 필수 예방접종비

본인 부담금 회당 5000원

12세 이하 어린이 BCG등 11가지 필수 예방접종을 무료로 제공

육아휴직 대체 인력 채용 지원금

중소기업 월 40만원 대기업 월 20만원

중소기업 월 60만원 대기업 월 30만원

셋째 아이 이상 대학등록금

없음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연 450만원 지원

국가장학금(반값 등록금)

소득에 따라 연 67만5000~450만원 지급

소득에 따라 연 90만~450만원 지급

사병 월급

상병 기준 월 11만7000원

15%인상, 상병 기준 월 13만5000원

해외 취업 연수 지원

34세 이하2000명

34세 이하 3100명

중장년 취업 훈련

없음 

40세 이상 1000명

배 .단감 농업재해보험

배 3개 시. 군

배 12개 시. 군, 단감 3개 시.군

장애인 콜택시

1962대

2193대

저소득층 의료비 본인 부담액

상한 200만원

상한 120만원

시간제 일자리 창출

인건비 월 최고 60만원 지원

정부가 기업 부담분 국민연금 . 고용보험료 전액 2년간 지원, 인건비 월 최고 80만원 지원

 

반응형